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판결

주요판결

혼인 외 출생자와 생모 사이의 민법 제1014조 적용여부

작성자 : 김선영변호사
작성일 : 2018-08-31 00:00:00
조회수 : 30

[대법원 2018. 6. 19. 선고 2018다1049 판결]

1. 판결 요지

“민법 제860조는 본문에서 “인지는 그 자의 출생 시에 소급하여 효력이 생긴다.”고 하면서 단서에서 “그러나 제삼자의 취득한 권리를 해하지 못한다.”라고 하여 인지의 소급효를 제한하고 있고, 민법 제1014조는 “상속개시 후의 인지 또는 재판의 확정에 의하여 공동상속인이 된 자가 상속재산의 분할을 청구할 경우에 다른 공동상속인이 이미 분할 기타 처분을 한 때에는 그 상속분에 상당한 가액의 지급을 청구할 권리가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혼인 외의 출생자와 생모 사이에는 생모의 인지나 출생신고를 기다리지 아니하고 자의 출생으로 당연히 법률상의 친자관계가 생기고, 가족관계등록부의 기재나 법원의 친생자관계존재확인판결이 있어야만 이를 인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인지를 요하지 아니하는 모자관계에는 인지의 소급효 제한에 관한 민법 제860조 단서가 적용 또는 유추적용되지 아니하며, 상속개시 후의 인지 또는 재판의 확정에 의하여 공동상속인이 된 자의 가액지급청구권을 규정한 민법 제1014조를 근거로 자가 모의 다른 공동상속인이 한 상속재산에 대한 분할 또는 처분의 효력을 부인하지 못한다고 볼 수도 없다. 이는 비록 다른 공동상속인이 이미 상속재산을 분할 또는 처분한 이후에 모자관계가 친생자관계존재확인판결의 확정 등으로 비로소 명백히 밝혀졌다 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2. 사실관계

가. A는 B와 혼인하여 피고1을 출산한 후 이혼하고, C와 사실혼 관계를 유지하면서 원고 등을 출산함.
나. A는 이 사건 부동산을 소유하다가 2015. 1. 27. 사망함. 피고1은 2015. 6. 8.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상속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후, 2015. 6. 25. 피고 2에게 이 사건 부동산을 매도하고 그 무렵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주었음.
다. 원고 등은 2016. 2. 12. A과 원고 등 사이에 친생자관계가 존재한다는 확인을 구하는 소를 제기하였고, 2016. 7. 1. 그 인용판결이 확정되었음.

3. 원심 법원의 판단

원심판결은 인지 이전에 공동상속인들에 의해 분할되거나 처분된 상속재산은 민법 제860조 단서가 규정한 인지의 소급효 제한에 따라 이를 분할 받은 공동상속인이나 양수한 자에게 확정적으로 귀속되는 것이고, 이러한 법리는 상속개시 후에 친자관계존재확인의 소의 확정에 의하여 상속인으로 판명된 자가 발생한 경우에도 적용된다고 판단함.

피고1이 피고2에게 소유권 이전등기를 마친 후에 원고 등과 A 사이의 친생자관계존재를 확인하는 판결이 확정되었음. 이에 원고 등은 민법 제1014조의 ‘상속개시 후의 재판의 확정에 의하여 공동상속인이 된 자’에 해당하여, 피고 1을 상대로 매매대금 상당의 가액지급청구권만을 행사할 수 있을 뿐, 피고 2에게 소유권이 확정적으로 귀속된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한 처분의 효력을 부인하지는 못한다고 판단함.

4.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위 판결요지에서 밝힌 법리에 따라 “원고 등과 소외 1 사이에는 민법 제860조 단서가 적용 또는 유추 적용되지 아니하고, 민법 제1014조를 근거로 원고 등이 피고 1의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한 처분의 효력을 부인하지 못한다고 볼 수도 없다. 이는 비록 피고 1이 이미 이 사건 부동산을 처분한 이후에 원고 등과 소외 1 사이에 친생자관계존재확인판결이 확정되어 그 모자관계가 비로소 명백히 밝혀졌더라도 마찬가지이다.”라는 이유로, 원고 등이 제기한 소유권이전등기말소 소송의 상고를 인용하였음.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85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출퇴근 재해 적용시기 헌재 판결 김선영변호사 2019-10-25
84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 소멸시효 기산점 법무법인 시민 2019-08-29
83 국회의원 등 공인에 대한 '종북' 표현이 불법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판결 법무법인 시민 2019-06-26
82 택시업계의 꼼수에 철퇴를 내린 대법원 판결 김남준변호사 2019-05-21
81 최저임금법 위반 '회피 의도' 취업규칙 변경은 근로자 동의했어도 무효라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대법원 2016다2451 판결) 법무법인 시민 2019-04-25
80 육체노동 가동연한을 만 60세에서 65세로 상향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법무법인 시민 2019-02-27
79 1972년 유신 계엄 포고 자체가 무효라는 첫 대법원 판결 법무법인 시민 2018-12-21
78 소멸시효 중단을 위한 후소로서 이른바 ‘새로운 방식의 확인소송’을 허용한 판결 법무법인 시민 2018-10-30
77 혼인 외 출생자와 생모 사이의 민법 제1014조 적용여부 김선영변호사 2018-08-31
76 근로기준법상 휴게시간 관련 판례2 이성재노무사 2018-06-27
1 2 3 4 5 >